개요 ⏰

개발자라면,,
아니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대부분이 윈도우 사용자 일거라 예상하며 이 포스팅을 작성한다.
나도 윈도우 개발환경을 사용하면서,
디바이스는 ios 를 사용하고 있는데,
React-native 에서 ios 개발은 Mac 💻 으로만 가능하다는 점이 아쉬웠다.
하지만,
나와 같은 케이스를 위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애뮬레이터를 사용하여
윈도우 개발환경에서 Android 디바이스를 구동하여 앱을 빌드 할 수 있다.

이번 포스팅 에서는,
애뮬레이터를 구동시켰을 때, 대게 Play Store 가 없었던 경우가 다반수였던것같다.
아니, 실제로 필요가 없었다.
특정 앱을 설치하기 위해 애뮬레이터에서 Play Store 에 접근하여야하는데,
어떻게 하면 Play Store 를 추가할 수 있을까 ? 에서 시작하려 한다.


Virtual Device Manager 📱

초기 화면에서,
우측 옵션을 클릭하여 Virtual Device Manager 로 이동한다.

해당 애뮬레이터의 옵션을 클릭하여 Show on Disk 를 선택하면,
파일 탐색기가 실행되는데,

config.ini 파일을 편집기로 실행하여 아래와 같이 수정하여 저장한다.

PlayStore.enabled = true
image.sysdir.1 = system-images\android-31\google_apis_playstore\x86_64\

저장하고 Device Manager 를 새로고침 하면 아래와 같이 경고 아이콘이 표시되는데,
해당 이미지 파일을 찾을 수 없다고 하니,
SDK Manager 에서 필요한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주도록 한다.


SDK Manager 🔮

다시 초기 화면으로 돌아와 옵션 버튼을 클릭하여 SDK Manager 로 접근한다.

첫 번째 탭 SDK Platforms 에서 하단의 Show Package Details 체크박스를 체크하면,
특정 API Level 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것 같다.

원하는 System image 를 선택하여 Apply 버튼을 클릭하면,
SDK Component installer 가 열리며 다운로드가 진행된다.


생성 및 실행 🏄

위 두 과정을 모두 마쳤다면,
새로 Device 를 추가하여 Play Store 를 지원하는 기기를 생성한다.

위 이미지에서 Pixel XL 을 선택하여 설정을 마쳤는데,
해당 디바이스는 Play Store 를 지원하지 않는 기기였다 ..😨

나는 Pixel 4 를 선택하여 디바이스를 생성 해 주었고,
해당 기기를 실행 해 보면 다음과 같이 홈 화면에 Play Store 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.

실제 디바이스와 같이 앱 다운로드 하는 과정도 모두 동일하다.


Reference 🌊

https://bada744.tistory.com/112
https://ccusean.tistory.com/entry/Android-Virtual-Devices-%EC%97%90-Play-Store-%EC%B6%94%EA%B0%80%ED%95%98%EB%8A%94-%EB%B0%A9%EB%B2%95
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studio/run/managing-avds?hl=ko
https://aspring.tistory.com/entry/Android-App-%EC%95%88%EB%93%9C%EB%A1%9C%EC%9D%B4%EB%93%9C-%EC%8A%A4%ED%8A%9C%EB%94%94%EC%98%A4-AVD-%EC%84%A4%EC%B9%9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