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Blockchain] Klaytn 지갑 생성과 erc20 토큰 발행하기
개요
위 링크로 접속하여 지갑을 생성 해 주려고 한다.
지갑 생성
상단에 버튼을 이용해 Baobob Testnet 으로 바꾸어주고,
Create Account
로 지갑을 생성 해 준다.
개인키를 저장하는 지갑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.
(번역)
다음단계를 누르게 되면 키가 자동으로 다운로드 된다.
다음단계로 이동하면 개인키와 지갑키가 암호화 되어 부여되며,
키는 따로 보관하는게 좋다.
Faucet
지갑을 생성했다면 무료로 지급되는 Klay 를 받을 수 있다.
Klay 의 오남용을 방지하여 24시간의 제한을 두고있다.
erc20 token
Faucet
탭 밑에 More
를 클릭하면,
이더리움 가상환경인 Remix IDE 를 새 창으로 열 수 있다.
클레이튼 지갑에서 IDE 를 실행하면,
제일 밑에 Klaytn 버튼이 생긴다.
아래 컨트랙트를 컴파일 하고
컴파일 시 드롭박스에서 StandardToken 을 선택하며,
Deploy 시 에도 동일하게 선택해준다.
컴파일 시 에러(붉은색) 표시는 Syntax 문제 혹은 버전의 문제일 수 있으나,
경고(노란색) 표시는 무시해도 무관하다.
// SPDX-License-Identifier: MIT
pragma solidity ^0.4.21;
interface ERC20 {
function balanceOf(address who) public view returns (uint256);
function transfer(address to, uint256 value) public returns (bool);
function allowance(address owner, address spender) public view returns (uint256);
function transferFrom(address from, address to, uint256 value) public returns (bool);
function approve(address spender, uint256 value) public returns (bool);
event Transfer(address indexed from, address indexed to, uint256 value);
event Approval(address indexed owner, address indexed spender, uint256 value);
}
library SafeMath {
function mul(uint256 a, uint256 b) internal pure returns (uint256) {
if (a == 0) {
return 0;
}
uint256 c = a * b;
assert(c / a == b);
return c;
}
function div(uint256 a, uint256 b) internal pure returns (uint256) {
// assert(b > 0); // Solidity automatically throws when dividing by 0
uint256 c = a / b;
// assert(a == b * c + a % b); // There is no case in which this doesn't hold
return c;
}
function sub(uint256 a, uint256 b) internal pure returns (uint256) {
assert(b <= a);
return a - b;
}
function add(uint256 a, uint256 b) internal pure returns (uint256) {
uint256 c = a + b;
assert(c >= a);
return c;
}
}
contract StandardToken is ERC20 {
using SafeMath for uint;
string internal _name;
string internal _symbol;
uint8 internal _decimals;
uint256 internal _totalSupply;
mapping (address => uint256) internal balances;
mapping (address => mapping (address => uint256)) internal allowed;
function StandardToken() public {
_name = "SimJunko"; // Set the name for display purposes
_decimals = 18; // Amount of decimals for display purposes
_symbol = "SSW"; // Set the symbol for display purposes
_totalSupply = 100000000000000000000000000; // Update total supply (100000 for example)
balances[msg.sender] = 100000000000000000000000000; // Give the creator all initial tokens (100000 for example)
}
function name()
public
view
returns (string) {
return _name;
}
function symbol()
public
view
returns (string) {
return _symbol;
}
function decimals()
public
view
returns (uint8) {
return _decimals;
}
function totalSupply()
public
view
returns (uint256) {
return _totalSupply;
}
function transfer(address _to, uint256 _value) public returns (bool) {
require(_to != address(0));
require(_value <= balances[msg.sender]);
balances[msg.sender] = SafeMath.sub(balances[msg.sender], _value);
balances[_to] = SafeMath.add(balances[_to], _value);
Transfer(msg.sender, _to, _value);
return true;
}
function balanceOf(address _owner) public view returns (uint256 balance) {
return balances[_owner];
}
function transferFrom(address _from, address _to, uint256 _value) public returns (bool) {
require(_to != address(0));
require(_value <= balances[_from]);
require(_value <= allowed[_from][msg.sender]);
balances[_from] = SafeMath.sub(balances[_from], _value);
balances[_to] = SafeMath.add(balances[_to], _value);
allowed[_from][msg.sender] = SafeMath.sub(allowed[_from][msg.sender], _value);
Transfer(_from, _to, _value);
return true;
}
function approve(address _spender, uint256 _value) public returns (bool) {
allowed[msg.sender][_spender] = _value;
Approval(msg.sender, _spender, _value);
return true;
}
function allowance(address _owner, address _spender) public view returns (uint256) {
return allowed[_owner][_spender];
}
function increaseApproval(address _spender, uint _addedValue) public returns (bool) {
allowed[msg.sender][_spender] = SafeMath.add(allowed[msg.sender][_spender], _addedValue);
Approval(msg.sender, _spender, allowed[msg.sender][_spender]);
return true;
}
function decreaseApproval(address _spender, uint _subtractedValue) public returns (bool) {
uint oldValue = allowed[msg.sender][_spender];
if (_subtractedValue > oldValue) {
allowed[msg.sender][_spender] = 0;
} else {
allowed[msg.sender][_spender] = SafeMath.sub(oldValue, _subtractedValue);
}
Approval(msg.sender, _spender, allowed[msg.sender][_spender]);
return true;
}
}
환경(ENVIRONMENT) 을 Baobab(테스트넷) 으로 변경 후,
지갑이 연결되면 컨트랙트 내부에서 발행할 토큰의 Name 과 Symbol 을 지정해준다.
Symbol 은 코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간략한 단어를 의미하며,
Name 은 코인의 전체 이름을 의미한다.
지갑 가져오기
컴파일을 마치고 Klaytn 의 Deploy 탭에서
ACCOUNT 에 넣어줄 지갑의 주소는
클레이튼 지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닉네임을 클릭하고,
지갑 키를 내보내기 하면 Private 키를 얻을 수 있다.
토큰 생성하기
Name 과 Symbol 을 작성 후 StandardToken 으로 변경하고 Deploy 하면,
해당 컨트랙트가 Deploy 되며 컨트랙트 주소가 출력된다.
생성된 토큰을 확인하기 위해서는
터미널 창에 출력된view on etherscan
을 누르면
새 페이지가 열리며 방금 실행한 컨트랙트의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다.
해당 트랜잭션은 참고용임을 명시함
생성된 SSW 토큰은 메인넷이 아닌 Baobab 테스트넷에서 발행되었기때문에,
실제 화폐로써의 가치는 없는 토큰이다.
만약, 테스트넷이 아닌 메인넷에서 Fee 를 소모하여 발행하였다면,
발행한 토큰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