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Blockchain] 세폴리아 (Sepolia) 네트워크 환경에서 erc20 토큰 발행하기
Sepolia ?
Sepolia 는 이더리움 메인넷과 동일한 환경을 갖춘 테스트넷이다.
이더리움 테스트넷으로는 Goerli 네트워크도 존재하는데,
이는,
Sepolia 는 테스트넷에서 분기되어 만들어졌으며,
Goerli 은 이더리움 클래식 테스트넷에서 만들어진 네트워크 정도로 말할 수 있다.
하지만, 두 네트워크 모두
스마트컨트랙트를 체인 위에 올리기 전 테스트를 위한 목적으로는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며,
이더리움 기반의 개발을 위해 안정적인 테스트넷으로 활용할 수 있다.
Sepolia = > Rinkeby 와 호환,
Goerli => Ethereum Classic 과 호환
Sepolia, Goerli => PoA (Proof of Authority) consensus algorithm 사용
Faucet
https://sepolia-faucet.pk910.de/
-
위 페이지는 Sepolia 테스트넷에서 ‘테스트용’으로 나눠주는 이더리움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이다.
-
1시간마다 0.05 Sepolia ETH 를 받을 수 있다 (Faucet)
-
Goerli 테스트넷의 수수료가 비싸져서 Sepolia 테스트넷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
Sepolia 네트워크 환경에서 erc20 토큰 발행하기
강사님이 해당 깃헙에 소스코드를 공개하여
MPC.sol
파일을 Remix 에 가져와 ERC20 을 생성하려한다.
컨트랙트버전을 맞춰주어야 Remix IDE 에서 컴파일 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.
토큰 발행
토큰 발행을 위해 name
과 Symbol
을 수정 해 준다.
_decimals
은 보낼 토큰의 양 뒤에 붙는 0 의 개수를 의미하며,
보통 10 의 18 승으로 지정하는 이유는 이더리움의 단위 때문이다.
_totalSupply
는 발행된(할) 전체 토큰의 개수를 의미한다.
Deploy
Remix 의 ENVIRONMENT 를 Injected Provider - MetaMask 를 선택하면,
메타마스크가 실행되며
이 때 Sepolia 테스트 네트워크를 선택하면 해당 컨트랙트와 지갑이 연결된다.
Contract 는 StandardToken 선택한다.
StandardToken 은,
스마트 계약인 ERC20 및 BasicToken 기능이 있는 토큰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.
Deploy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배포 되었다는 아이콘과 함께
View on etherscan
을 누르면 새 창으로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다.
- Status 가 Success 로 바뀌게 되면 토큰이 발행 되었다는 의미로 알 수 있다.
토큰 가져오기
토큰을 발행한 지갑을 확인하면 발행된 토큰이 보이지 않을것이다.
자산 탭에 하단에서 토큰 가져오기를 통해 발행한 토큰을 가져올 수 있다.
토큰 계약 주소 칸 에는 방금 배포한 컨트랙트 주소를 넣어주면,
Symbol 명과 발행한 토큰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고,
발행한 토큰을 지갑에 가져올 수 있다.
토큰 거래하기
생성한 토큰은 실제 다른 사용자와도 주고받을 수 있다.
주고 받을 계정을 새로 생성하고,
기존의 지갑에서 보내기를 통해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.
전송되는 과정은 활동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.